게시글 상세
전문가 칼럼
회원

보청기의 원리와 구조 이해해보기

서혜인 청각사

· 경기 성남시 ·

25.08.04

✅ 보청기의 원리와 구조 이해해보기난청을 겪는 분들에게 보청기는 일상 소통의 질을 높여주는 중요한 보조기기입니다. 하지만 보청기가 단순히 소리를 크게 해주는 ‘확성기’라고 생각하신다면, 이는 오해입니다. 실제로 보청기 안에는 매우 정교한 전자 장치가 들어 있어, 청력 손실의 정도와 환경에 따라 소리를 분석하고 선택적으로 증폭해줍니다. 이 글에서는 보청기의 기본 구조와 더불어, 작동 원리를 보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보청기의 기본 구조보청기는 겉보기엔 작지만,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핵심 부품들이 들어 있습니다. - 마이크(Microphone) :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 디지털 증폭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 마이크가 감지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게 소리를 정밀하게 증폭 및 조절합니다. - 리시버(Receiver/Speaker) : 처리된 소리를 다시 귀 안으로 들려주는 초소형 스피커입니다. - 전원(Battery) :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며, 최근에는 충전식 배터리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2. 보청기의 작동 원리 – 디지털 신호 처리의 정교함보청기의 핵심 기능은 단순한 음량 증폭이 아니라,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는 맞춤형 소리 조절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디지털 신호 처리(DSP, Digital Signal Processing)입니다. 작동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단계: 소리 수집 보청기 외부의 마이크가 주변의 모든 소리를 수집합니다. 보통 두 개 이상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방향성을 확보하고, 말소리와 소음을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2단계: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 수집된 소리는 원래 아날로그 형태입니다. 보청기는 이를 A/D(Analog-to-Digital)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바꿉니다. 이 과정이 있어야만 복잡한 디지털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 3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 이제부터 보청기의 '두뇌' 역할을 하는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본격적으로 작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처리가 이뤄집니다. - 주파수별 증폭 조절: 사용자의 청력 검사 결과(청력 그래프, Audiogram)에 따라, 어떤 주파수 대역은 더 많이, 어떤 대역은 덜 증폭합니다. 예를 들어 고음역대 청력 손실이 크다면, 고음 주파수를 더 강조하게 됩니다. - 소음 억제 (Noise Reduction): 배경 소음을 자동으로 감지해 줄이고, 말소리는 강조하여 보다 선명하게 들리도록 합니다. - 피드백 억제 (Feedback Cancellation): 보청기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삐- 하는 잡음을 미리 예측하고 차단합니다. - 환경 자동 감지: 보청기는 주변 환경이 조용한 곳인지, 소란스러운 장소인지 등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소리 처리를 조정합니다. (예: 회의실, 식당, 바깥 등 환경에 맞는 프로그램 자동 적용) - 이중 마이크 기반 방향성 기능: 여러 방향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구분해, 사용자의 앞에서 들리는 말소리를 더 선명하게 전달합니다. 이러한 정교한 처리는 모두 보청기 내부의 고성능 DSP 칩이 실시간으로 수행합니다. * 4단계: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 및 출력 최종적으로 처리된 디지털 신호는 D/A(Digital-to-Analog) 변환기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음성으로 전환됩니다. 그 후, 리시버(스피커)를 통해 귀 안으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됩니다.
3. 스마트 기능의 확장최근의 보청기들은 단순히 소리를 증폭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스마트 기능까지 탑재하고 있습니다. - 블루투스 연결: 스마트폰, TV, 태블릿과 연결해 직접 소리를 스트리밍할 수 있음 - 앱 연동: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가 볼륨, 환경 모드, 배터리 상태 등을 직접 조절 가능 - AI 기반 환경 분석: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사용 환경을 학습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보청기도 등장 이는 보청기가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 청각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보청기는 단순한 확성기가 아닌, 복잡하고 정교한 청각 보정 장치입니다. 마이크 → 디지털 처리 → 주파수별 조절 → 리시버 출력에 이르는 과정 속에는, 사용자의 청력 상태를 고려한 섬세한 알고리즘과 기술이 숨겨져 있습니다. 보청기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기기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본인의 청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정확한 사용법과 지속적인 관리만 더해진다면, 보청기는 단순한 보조기기가 아닌, 삶의 질을 높이는 동반자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 차효근 청각사 - 대한이비인후과 청각사 - 전 6대 보청기 브랜드 제조사 교육 및 수리교육 이수 - 현재 전국 포낙 우수상 3년째 수상 - 서울 노원구 / 경기 성남시 전문센터 대표원장 - 노원구청,성남시청(중원구청,수정구청,분당구청) 단독 협약점 - 이비인후과 MOU체결 이미지
국내최대 보청기 가격비교 앱. 올드히어로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